에세이

title_text

7호

인연의 끈

권영규

  코로나로 봉쇄가 한창일 때 이사를 하게 되었다. 벌써 2년 반 전의 일이다. 이사를 하던 그날은 하늘이 심술부리듯 비가 쏟아지다 말다를 반복했다. 이사 간 집 앞 담장에 덩치가 큰 야생 코카투(황관앵무새)가 꿈쩍도 하지 않고 앉아서 짐 나르는 사람들을 감시하듯 보고 있었다. 지능이 높다는 코카투는 나중에는 몇 마리가 떼를 지어 현관 앞 지붕과 시멘트 바닥에서 서성거렸다. 새로 이사 오는 사람들이 친절하게 자기네 무리에게 먹이라도 주지 않을까 싶었나 보다. 떼로 몰려오기라도 할까 봐 꾹 참고 먹을 것을 주지 않으니 똑똑한 이 녀석들은 두 번 다시 현관 주위에서 얼쩡거리지 않고 옆집의 키가 큰 나무 위에 모여 살고 있다. 태양광 솔라패널이 설치된 옆집의 지붕 위는 코카투 배설물로 가려지기 일쑤다. 록다운 중이니 동네에 인적은 없고 새들에게 먼저 눈으로 인사를 한 셈이다.
  이곳 사람들은 이사를 하면 대개 직접 구운 과자나 케이크 등을 들고 이웃집 문을 마치 신고식 하듯 두드린다. 그러나 봉쇄령으로 외출이 엄격히 제한된 때가 아닌가. 마스크를 쓰고 사회적 거리 두기를 한다 해도 남의 집 초인종을 누르거나 문을 두드린다는 것은 엄두도 못 낼 때였다. 그 대신 우리는 식구를 소개하는 글을 써서 초콜릿과 함께 예쁘게 포장하여 몇 집의 우편함에 넣었다. 다음날, 비가 쏟아지는데 현관문 두드리는 소리가 났다. 마스크를 쓴 부인이 앞집에 산다며 웰컴이라고 적은 카드와 오븐에서 막 구워낸 바나나 케이크를 들고 왔다. 카드에는 온 식구 이름과 네 자녀의 학년, 강아지 이름, 남편과 자신의 직업까지 적혀 있다. 그녀는 록다운이 해제되면 만나자며 황급히 빗속으로 사라졌다. 우리 우편함에 카드를 넣고 간 이웃도 있었다.
  호주에서 산 지 36년 만에 처음으로 울타리를 사이에 두고 한국 가족이 살고 있다. 지금은 가끔 안부를 묻고 지내는 정도지만 뒤뜰에 있던 나의 남편을 불러 상추 모종을 나눠주기도 한 친절한 분들이다. 간혹 마당에서 성년의 그 집 딸이 엄마― 하는 소리가 들려오면 비슷한 목소리의 내 딸이 나를 부르는 것으로 착각할 때도 있다. 바비큐를 하는지 갈비 굽는 냄새나 된장찌개 냄새라도 간혹 바람에 실려 우리 집 쪽으로 풍겨 오면 나는 괜히 기분이 좋다. 한국인이 한국적인 것에 자석처럼 마음이 끌리는 것은 당연하지 않은가.
  26년 동안 살며 정들었던 동네를 떠나오니 그리운 마음에 가끔 그곳으로 드라이브를 간다. 사십여 채가 들어선 그 동네는 해마다 호주의 날(Australia Day)이 오면 동네 사람들이 거리에 모여 아침 식사를 같이하는 전통이 있다. 그동안 주민들의 연령이 높아지며 이 세상을 떠난 이웃도 여럿 있고 실버타운이나 요양병원 같은 곳으로 거처를 옮기기도 하니 지금은 동네 풍경이 달라진 듯하다. 동네 길에서 걷기 운동을 하거나 개를 데리고 산책하는 동양인이 부쩍 눈에 띈다. 우리가 살던 집을 구입한 사람은 중국계였다. 새 주인은 아직은 멀쩡한 집을 부수고 새로 짓고 있다. 땅을 완전히 갈아엎는 바람에 색색의 철쭉이며 꽤 많던 꽃나무들이 뿌리째 뽑히고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렸다. 특별한 이유가 아니면 법적으로 자를 수 없는, 하늘을 찌를 듯이 키가 큰 유칼립투스 몇 그루만이 제자리를 지키고 있다. 이제 그 집은 완전히 추억 속의 집, 사진으로만 볼 수 있게 된 것이다. 우리가 살던 집도 사라졌으니 나는 그 집 앞을 드라이브하며 지날 때면 유칼립투스 나무만 올려다보고 ‘안녕!’ 인사한다.

  새로 이사 온 지금 이 집에서 2년 이상을 살다 보니 정이 들었다. 집안에서는 동선이 짧아서 편리하고 전철역까지 평평한 도로를 따라 걸어갈 수 있는 거리에 있어서 더 나이 들기 전에 잘 옮겼다고 식구들과 두고두고 이야기한다. 처음에는 봉쇄령으로 한 가구에서 한 사람만 하루에 한 번 슈퍼마켓이나 식품점에 갈 수 있도록 외출이 제한되던 때였다. 밖에 나가는 건 남편 몫이었다. 집안에 묶여 있는 것이 갑갑하고 바깥세상이 궁금한 남편은 반경 5킬로미터 내로 허용된 한국 식품점에 들락거렸다. 나와 딸은 시쳇말로 ‘집콕’을 하며 이삿짐을 정리했다. 집을 줄여 이사를 하는 바람에 살림을 반 이상 줄여야 했는데 적십자사나 구세군을 비롯해서 모든 기부처가 문을 닫았고, 크고 작은 쓰레기를 처분하는 곳이 철문을 굳게 닫았었다. 지역 카운슬(구청)에서조차 픽업 서비스를 중단하는 바람에 결국 버릴 물건까지 끌고 이사를 오게 되어 이삿짐 트럭을 몇 대나 더 불러야만 했다. 집 안팎에서 눈꼴 사나운 모습으로 둘러싸여 있던 그 짐짝들을 처분하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우리 집은 길 뒤쪽에 위치하고 있어서 길에서 보이지 않기에 다행이었지만.
  이 집에서 살게 된 것이 필연적이었다고 생각되는 재미있는 사실이 있다. 우리 집 개 이름이 루이(Louie)인데 하필이면 앞집 부인 이름이 루이즈(Louise), 그 옆집 고양이 이름이 루이스(Louis)다. 우리는 루이를 애칭으로 ‘루’라고 부르는데 앞집 부인의 애칭도 ‘루’라는 걸 알고는 기겁을 했다. 더 이상 밖에서는 크게 ‘루’라고 부르지 않는다. 게다가 옆집 한국인 가정에서 키우는 개 이름이 ‘리오(Leo)’인데 그 집 식구들은 강아지 때부터 키우는 그 개를 아기 부르듯이 리오, 리오 한다. 작년에 태어난 내 조카의 아들도 같은 이름이다. 아기가 우리 집에 올 때마다 우리는 그 사랑스러운 아기를 리오, 리오…… 하고 불러댄다. 이사 온 후 새로 정한 동네 홈닥터의 이름도 닥터 리오! 우연의 일치라고 웃어넘기기보다는 이쯤 되면 예사롭지 않은 인연의 끈이 우리를 이곳으로 끌어당긴 것이지 싶다. 더 나아가서 우리가 고국을 떠나 하필이면 호주 시드니로 이주해 와 오랜 세월을 살게 된 일이며, 어쩌면 이 세상에서 마지막이 될 수도 있는 이 집에 둥지를 틀게 된 것 역시도 예삿일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우리가 모르는 절대의 섭리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지 않을까.
  봉쇄령은 벌써 폐지되었고 아직 코로나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어도 사람들은 일상을 예전처럼 자유롭게 살고 있다. 우리가 이사 온 이 집에서 52년을 살았다는 노부부는 그 긴 세월 동안 동네에서 많은 변화를 겪었으리라. 영국계 백인인 그들이 반세기 전 이곳에 둥지를 틀었을 때만 해도 호주가 백호주의 깃발을 펄럭이던 때가 아니던가. 지금은 집 양쪽에 한국인과 중국인이 이웃하고 있으니 많은 변화를 경험했을 터이다. 이분들은 ‘Garden File(가든 파일)’이라고 적힌 폴더를 우리에게 남겼다. 나무를 살 때마다 묘목에 딸려 있던 품목표에 구입한 해를 적어서 보관해 왔을뿐더러 어디에 심었다는 것까지 분류해 놓았다. 관리법을 손수 자세히 적어 두기도 했다. 뒤뜰에 아가판서스(agapanthus)가 무리 지어 있던 자리를 지금은 깻잎과 상추가 차지하고 있는 것을 보면 어떻게 생각할까.
  내일 지구가 멸망하더라도 오늘 사과나무를 심겠다고 한 스피노자의 명언을 따르고자 한 것은 아니나, 나는 사과나무를 심었다. 로열갈라(Royal Gala)와 핑크레이디(Pink Lady) 두 품종을 현관 앞에 나란히 심어 놓고 쌀뜨물을 부어가며 정성을 들인다. 사과가 주렁주렁 열리게 되면 이사 오던 날 현관 앞을 맴돌던 코카투 녀석들을 의식해서 그물을 씌워야 할 수도 있겠지만 사람만 먹겠다고 욕심을 부릴 수도 없지 않은가. 유년 시절 동네 집에서 떡을 하면 이웃들과 나누어 먹었던 훈훈함이 그립다. 이심전심 마음으로 통하며 편안하게 다가와 주는 한국인만이 갖고 있는 정이 그리울 때가 많다.
  우리 이웃들과 사과를 나누게 될 날을 상상하며 나는 저녁쌀 씻은 쌀뜨물을 들고 현관문을 나선다.

필자 약력
권영규_프로필.jpg

서울 출생. 이화여고 이화여대 졸업. 1988년 호주에 정착했다. 2005년 소설가 이효정 선생이 주관하는 문예창작교실 제4기를 수료하고, 2012년 《문학시대》 수필 부문을 통해 등단했다. 현재 이효정문학회(aka 시드니한인작가회) 회장을 맡고 있다. 본회 동인지 제5집 2007년 《시드니 수필》, 제6집-제11집 《시드니 문학》에 작품을 게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