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_text

2호

바람의 이름으로 외 1편

마종기

바람의 이름으로

그래, 네 말이 맞다.
나는 내 나라에서 쫓겨났었다.
다시는 고국에 돌아오지 않겠다고
매 맞으며 각서에 이름까지 썼었다.
그 일도 벌써 60년이 되어온다.

군의관이었던 신나게 젊었던 시절
혁대도 계급장도 구두끈도 다 빼앗기고
헌병 앞에서 수갑 차고 포승에 묶여
쓰레기같이 욕먹으며 산 어두운 감방
내가 기댈 희망의 끈은 한 줄도 없었다.

준비 없이 스산한 딴 나라에 나와서도
더부살이 회초리를 세차게 맞아가며
혀 빼고 눈감고 살기가 힘이 들었다.
들판 같은 외로움도 온몸을 할퀴었다.
그간에 고운 바람으로 네가 자랐구나.

그래, 네 말이 맞다. 최근에는
죽기 전에 국적을 회복하고 싶어
이 구청 저 주민센터에 서류 제출하고
법무부 무슨 국에는 명예를 찾겠다고
내 간절한 이유도 길게 열심히 썼었다.

(살아온 내 한 생을 믿기 힘들어하는
아들은 한국의 안과 학회에서 일간
각막 이식의 새 수술법을 소개하려고
외국인 학자로 강연 준비에 바쁜데
강연 중엔 나를 농담으로 언급한다네.)

그래 이제 나는 농담 한마디로 끝나는 몸,
그러나 아들아, 한 가지만은 믿어다오.
나는 절대로 고국에 죄짓지 않았다.
옳은 길을 가야 한다고 믿었을 뿐이다.
내 사랑이 언제나 밝기를 바랐을 뿐이다.

가거든 가슴 펴고 애비의 나라를 즐겨라.
그곳에는 고운 꽃들이 많이 핀다더라.
싱싱하고 새로운 인연도 많이 만나라.
젊은 날 내가 받았던 상처의 미친 바람들,
믿어라, 그런 회오리는 다시 오지 않는다.


해변의 디아스포라

지난밤 긴 꿈이 아침까지 남아서
해변에는 지키지 못한 약속들 흩어지고
아침은 하늘까지 올라가
맑고 따뜻한 천지를 만드는데
세상에는 얼마나 많은 이가 이런 날
숨죽이며 아예 고개를 숙여버리는지
늦가을 전라도 순천만에 와서야
두 손에 묻은 비린 바람이
위로의 말을 내게 전해주네.
그 많은 억새들이 불러주는 노래가
떠도는 내 혼을 도닥여주네.

이제 기억난다. 그해에
미국 동부 뉴저지주 해변에서 만난
엉겨 모여 살던 억새도 같은 언어로
구슬피 노래하며 늪지대를 더 적시고
힘들게 산 날들을 지워버리던 날
이승의 고향에는 비가 내리고
늦가을이 가족처럼 나를 안아주었다.
같은 눈빛이라고 가볍게 웃어주었다.

필자 약력
마종기 작가 프로필 사진_연합뉴스.jpg

1939년 일본 도쿄 출생. 1959년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 연세대학교 의대,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 공군 군의관 시절 재경 문인 한일회담반대 성명서에 서명하고 구금당했다. 도미 후 오하이오 주립대학 병원에서 4년간의 전문의 과정을 수료, 미국 영상의학과 전문의로 일했다. 오하이오 의대 교수 시절 졸업식장에서 그해 최고의 교수상을 수상했다. 시집 『조용한 개선』, 『이슬의 눈』 등 다수, 산문집 『당신을 부르며 살았다』, 『우리 얼마나 함께』 등 다수를 출간했다. ‘현대문학상’, ‘대산문학상’ 등 다수를 수상했다. 2002년 미국 의사 생활 은퇴 후 연세대 의대 초빙교수, 문학의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공공누리로고

출처를 표시하시면 비상업적·비영리 목적으로만 이용 가능하고, 2차적 저작물 작성 등 변형도 금지됩니다.